문화

논문 참고 문헌 목록

투데이트리 2025. 8. 14. 01:03
반응형

 

 

 

 

논문 참고 문헌

 

김윤화. (2024). 세대별 SNS 이용 현황 (KISDI STAT Report Vol. 24-09). 정보통신정책연구원.

박광길. (2020). 인터넷 밈의 언어적 성격 고찰인문과학연구66, 5–26.

선혜진. (2025). 정서조절 능력이 주관적 행복과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: 자기인식의 매개효과.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, 19(3), 187-197.

안현의, 이나빈, 주혜선. (2013).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(K-CERQ)의 타당화. 상담학연구, 14(3), 1773-1794.

이유현, 정소희. (2018).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행복감 간의 관계. 한국웰니스학회지, 13(1), 363-372.

임영진, 고영건, 신희천, 조용래. (2012). 정신적 웰빙 척도(MHC-SF)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1(2), 369-386.

최순욱, 최성인, 이재현. (2020). 유튜브에서의 뮤직비디오 팬덤 분석: BTS M/V의 시청, 댓글 상호작용, 밈 영상 제작. 한국언론학보, 64(1), 7-45.

최우경, 김진숙. (2012).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: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. 상담학연구, 13(1), 255-272.

Ayele, S. T., Cecchetti, L., & Reber, R. (2025). Ingredients for a good meme: Cognitive, emotional, and social factors of internet meme appreciation. Psychology of Aesthetics, Creativity, and the Arts. https://doi.org/10.1037/aca0000744

Garnefski, N., Kraaij, V., & Spinhoven, P. (2001). Negative life events,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.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, 30(8), 1311-1327.

Myrick, J. G., Nabi, R. L., & Eng, N. J. (2022). Consuming memes during the COVID pandemic: Effects of memes and meme type on COVID-related stress and coping efficacy. Psychology of Popular Media, 11(3), 316–323. https://doi.org/10.1037/ppm0000371

Petrosyan, A. (2025). Internet and social media users in the world. https://www.statista.com/statistics/617136/digital-population-worldwide/

Vine, V., Boyd, R. L., & Pennebaker, J. W. (2020). Natural emotion vocabularies as windows on distress and well-being. Nature Communications, 11(1), 4525. https://doi.org/10.1038/s41467-020-18349-0

West, S. G., Finch, J. F., & Curran, P. J. (1995).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: Problems and remedies. In R. H. Hoyle (Ed.), Structural Equation modeling: Concepts, issues and applications (pp. 56-75). Newbury Park, CA: Sage.

 

 

이상. 문의 사항은 논문 저자에게 문의 바랍니다.

감사합니다.

반응형